https://www.aladin.co.kr/shop/wproduct.aspx?ItemId=237284556&start=slayer
대학을 졸업한지도 어느덧 4년, 그 말은 개발자로 일하기 시작한 지도 어느덧 4년이라는 뜻이 되네요.
컴퓨터공학부에서 웬만한 전공수업은 다 듣고 졸업하였지만 이 책을 보면서 학생 때 이런 걸 배웠었나? 싶은 것들도 많았습니다.( 그래서 학교에서 알려주지 않는 17가지 실무 개발 기술이라는 제목이겠지요? )
17가지 전부를 가르쳐주는 학교도 적겠지만 17가지 중에 1가지도 가르쳐주지 않는 학교도 없을 거라 봅니다.
그만큼 개발자로서 현업에서 실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기술들이기 때문이지요.
어떤 기술들이 있는지 쓱 보면서 제 생각을 가볍게 끄적여 봅니다.
소프트웨어를 지탱하는 기술 7선
- 문자열 인코딩: 요즘엔 대부분 UTF-8을 사용하지요?
- 다국어 처리: 글로벌 시대에 필수라고 봅니다.
- 날짜와 시간: 로그 기록할 때 처음 접해봤네요.
- 정규 표현식: 입력값 처리할 때 중요하죠!
- 범용 고유 식별자: 이 책에서 알게 되었습니다. 말 그대로 고유한 식별자.
- 유사 난수: 난수면 난수지 웬 유사 난수?라고 생각했지만 그 이유가 있었죠.( 책을 봅시다! )
- 해쉬 함수: 라이선스 키를 생성할 때 처음 접해봤네요.
데이터 처리 기술 6선
- JSON: 정말 많이 쓰이는 데이터 포맷
- YAML: 이 책에서 알게 되었는데 왜 이런 것들이 자꾸 생기나 했는데 이유가 있었죠.( 책을 봅시다! )
- XML: JSON에 의해서 설자리를 많이 잃었지만 그래도 많이 쓰이죠
- 프로토콜 버퍼: 구글 갓
- Base64: 영상, 이미지 등등 텍스트가 아닌 데이터들을 처리하기 위해 사용된다는군요. 처음 알게 되었습니다.
- 데이터 압축(zlib): 학생 때 과제가 생각났던.. 허프만 아저씨도 생각났던..
웹을 지탱하는 기술 4선
- HTTP: HTTPS를 씁시다.
- RESTful API: 설계의 중요성
- HTTPS: 보안의 중요성
- OAuth 2.0: 얘는 많이 들어봤는데 아직 써본 적은 없네요..
필자는 비주류인 윈도우 응용프로그램 개발자였다.
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에서 알려주는 기술들을 실무에서 접하게 되었으며 그만큼 핵심적인 기술들이란 이야기.
오픈소스를 사용해보면서 알게 된 기술들도 있는데 이것 또한 그만큼 책에서 알려주는 기술들이 중요하단 이야기.
결과적으로 어찌 되었든 개발자로서 세상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면 알아야 할 기술들이란 이야기.
그래서 이 책이 어떻다는 건데?
기술을 17가지나 소개하지만 책은 300페이지 정도밖에 안된다.
그 말은 즉슨 최대한 핵심적인 개념, 사용하는 이유, 어디에 쓰이는지, 무엇을 고려해야 하는지 등등 꼭 알아야 될 포인트들만 콕콕 집어서 이야기해준다.
가끔 깨알 같은 팁들은 저자의 세심함을 보여주는데 개인적으로 크게 공감하는 이야기가 많았다.( 그만큼 도움이 된다는 이야기 )
취준생이라면 상식을 쌓는다는 느낌으로, 실무자라면 한 번쯤 복습하는 느낌으로 읽어보길 권합니다.
'책 > [ 한빛미디어 ] 나는 리뷰어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자바스크립트 수박 겉핧기 끝판왕( feat. 자바스크립트는 모든 곳에 존재한다 ) (0) | 2021.02.21 |
---|---|
클라우드 네이티브 (0) | 2020.07.05 |
플러터 입문을 위한 넓고 얕은 내용( feat. 처음 배우는 플러터 ) (0) | 2020.04.24 |
데이터 사이언스는 해보고 싶은데 수학은 어렵고 파이썬은 뭐야?( feat. 김도형의 데이터 사이언스 스쿨 - 수학 편 ) (0) | 2019.12.14 |
라인 개발자가 되고 싶다면?( feat. 나는 LINE 개발자 입니다 ) (0) | 2019.11.02 |
댓글